옷처럼 입을 수 있는 로봇을 뜻하는 '웨어러블 로봇'은 장애인의 활동 보조를 위해 개발된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제는 모든 이에게 활용될 수 있는 필수적인 로봇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 삶에서 웨어러블 로봇의 의미와 필요성을 박나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65세 남성이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한 채 해발 600m에 달하는 북한산을 거뜬히 오릅니다. <br /> <br />산불진화용 웨어러블 로봇은 장시간 진화 피로도를 줄이고, 산지와 같은 경사도 쉽게 오르게 해줍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사람의 몸에 착용해, 근력 등 부족한 신체 기능을 보완하는 웨어러블 로봇의 쓰임새는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재활·훈련용 로봇에서 나아가 산업 현장에서는 물론 스포츠와 레저 등 우리 일상 곳곳에 적용 중인데, <br /> <br />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건 웨어러블 로봇이 인간의 신체 구조와 매우 닮아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구동기는 근육, 기계 구조물은 골격과 관절, 지능 알고리즘은 인지신경계, 동작제어 알고리즘은 운동신경계, 비상 대응 알고리즘은 교감신경계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공경철 /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: 웨어러블 로봇이 구동을 하는 원리가 사실 사람이 동작을 하는 거랑 거의 그대로 다 닮아있거든요. 어떤 동작을 할지에 대한 정의를 해야 되고, 그 동작이 일어나는 동안 내내 이제 피드백을 해야 되고.] <br /> <br />최근에는 수많은 동작 데이터를 취득 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, 웨어러블 로봇이 신체의 동작 의도를 파악해 정밀성과 안전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가 직접 착용하고 움직여보니, 힘을 제어하긴 하지만 동작을 구속하진 않아서 자연스럽게 보조받는 느낌입니다. <br /> <br />웨어러블 로봇 관련 수요가 다양한 분야에서 늘어나면서 로봇 업계 간의 협업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공경철 /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: 하나의 로봇을 설계하고 개발해서 만들어내서 검증하고 인증받는 데는 사실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돈이 소요됩니다. 여러 기업과 연계를 해야 일종의 로봇 산업이 생기고, 생태계가 생긴다고 생각을 합니다.] <br /> <br />전 세계 웨어러블 로봇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오는 2026년에는 우리 돈으로 약 18조 5,000억 원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웨어러블 로봇 산업이 더욱 커지려면 더 많은 인재 발굴을 포함해 플랫폼과 기술 교육, 나아가 자율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나연 (pn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72103424950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